도서정보

동해안 어촌신화

작성자 정보

  • 삼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963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목차
- 증보판에 즈음하여
- 책머리에
- 사진자료
-  제 1 장 서론
  연구의 목적
  연구사 검토
  연구범위 및 방법
- 제 2 장 동해안 어촌의 삶
  자연지리적 환경
  어촌의 생활상
  어촌의 민속신앙
- 제 3 장 동해안 어촌의 당신화의 유형
  좌정 방법에 따른 유형
  좌정 장소에 따른 유형
  신격에 따른 유형
- 제 4 장 동해안 어촌 당신화의 행위소
  권역별 당신화의 행위소
  행위소의 결합구소
  행위소의 기호론적 의미
- 제 5 장 동해안 어촌의 당신화 수용양상
  전승집단의 의식
  공동체 신앙의 생생력 상징
  당신화와 당제의 상생구조
  당신화와 생업간의 상관관계
- 제 6 장 동해안 어촌 당신화의 특성
  지역성
  서사성
  기능성
- 제 7 장 결론
  참고문헌
  자료

  ABSTRACT
  찾아보기,,,신화는 그 민족의 우주관과 문화적 상상력을 함축하고 있다.
신앙을 기저로 하는 우리 신화는 집단의 결속을 강화시켜 주고 믿음을 촉진시킨다. 집단이나 개인에게 재난이 닥쳤을 때나 무엇인가를 기원 할 때 신화의 주인공에게 의지하는 것은 자연스러운 행위이다.  이러한 행위를 통해 신화와 신앙을 공유하는 집단은 믿음을 확인하고 신앙을 유지한다. 당신화도 예외는 아니다. 당신화는 마을의 당신을 섬기게 된 유래나 규범을 공동체신앙과 함께 전해 내려와 더욱 신성상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 종교적인 경험에서 기인된 것이다. 신화는 제천의식 등의 고대제의와 밀접한 연관관계를 맺고 있다. 이점은 처음 문헌신화들의 연구를 통해 밝혀 졌으나 근자에는 무속신화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더욱 활발하게 입증되고 있다. 이를 살펴 보면 최남선, 김택규는 단군을 천군과 같은 것으로 보고 이를 다시 무당의 당골과 연결시켰고 김열규와 유동식은 고대신화를 통과제의의 구술적 상관물이라고 보면서 제의와 신화의 구조적 일치성에 대해 고찰한 바 있다.목차
- 증보판에 즈음하여
- 책머리에
- 사진자료
-  제 1 장 서론
  연구의 목적
  연구사 검토
  연구범위 및 방법
- 제 2 장 동해안 어촌의 삶
  자연지리적 환경
  어촌의 생활상
  어촌의 민속신앙
- 제 3 장 동해안 어촌의 당신화의 유형
  좌정 방법에 따른 유형
  좌정 장소에 따른 유형
  신격에 따른 유형
- 제 4 장 동해안 어촌 당신화의 행위소
  권역별 당신화의 행위소
  행위소의 결합구소
  행위소의 기호론적 의미
- 제 5 장 동해안 어촌의 당신화 수용양상
  전승집단의 의식
  공동체 신앙의 생생력 상징
  당신화와 당제의 상생구조
  당신화와 생업간의 상관관계
- 제 6 장 동해안 어촌 당신화의 특성
  지역성
  서사성
  기능성
- 제 7 장 결론
  참고문헌
  자료

  ABSTRACT
  찾아보기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