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정보
각종 미디어에 공개된 마을만들기와 관련한 정보를 모아 놓는 곳입니다.

마을 숲의 바람과 온습도 조절기능

작성자 정보

  • 삼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069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목차 
Ⅰ. 서 론 11
1. 연구의 배경 11
2. 연구의 목적 15
Ⅱ. 연구사 19
1. 식물의 증산작용 관련 연구 19
2. 온습도 관련 연구 22
3. 방풍림 관련 연구 24
Ⅲ. 연구 대상지 및 분석방법 31
1. 진안군 마을 비보숲 특성 31
1) 진안군 마을 비보숲 분포와 수종 31
2) 진안군 마을 비보숲 기능 33
① 인간과의 교감 기능 33
② 물리적 기능 35
③ 기능 변천 35
3) 마을 비보숲과 조망경관과의 관련성 36
4) 진안군 마을 비보숲 식생 구조 38
2. 부안군 해안 비보숲 특성 41
1) 부안군 해안 비보숲 분포와 수종 41
2) 부안군 해안 비보숲 기능 41
3) 부안군 해안 비보숲 식생 구조 42
3. 사례지역의 현황 42
1) 조사 대상 마을의 지황 및 임황 42
2) 조사대상 마을의 현황 분석 43
① 하초 비보숲 43
② 고사포 비보숲 49
4. 연구방법 52
1) 측정방법 52
2) 분석방법 54
Ⅳ. 결과 및 고찰 57
1. 바람조절기능 57
1) 하초 비보숲 57
2) 고사포 비보숲 63
2. 온습도 조절 기능 69
1) 하초 비보숲의 바람조절에 따른 온습도 조절 69
2) 고사포 비보숲의 바람조절에 따른 온습도 조절 72
3. 종합고찰 75
Ⅴ. 결 론 83
인용문헌 87,,,책 소개
마을숲이란 “마을 주변에 마을 주민들에 의해서 인위적으로 조성되어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유지 관리되고 보호되어 온 숲”을 말한다.
비보숲은 “한국적인 전통입지관으로 볼 때 시야가 트여 있는 부분을 보완해서 공간을 위요시켜야 할 필요가 있었고 이를 통해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자 인위적으로 조성된 숲”으로 개념을 정의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넓은 의미의 마을숲의 개념이 아니라 좁은 의미의 마을숲 즉 한국 농촌의 전통경관의 특질을 보여주고 있는 비보숲의 여러 가지 기능에 대한 관심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현재 잔존하고 있는 진안지역 마을숲 80여 개소 중 비보 기능이 강하게 남아 있는 하초 마을 비보숲과 전북 지역 해안 비보숲 중 가장 규모가 크고 비보 기능이 우수한 부안 고사포 해안 비보숲을 사례로 마을 비보숲과 해안 비보숲의 여과기능인 바람조절기능과 온습도 조절 기능을 실증적으로 연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