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릉지역의 전통문화 연구
작성자 정보
- 삼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215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목차
1 강릉 단오제의 현대적 계승 / 김경남
2 강릉지역 다리 이름 고찰 / 김기설
3 강릉 農謠 연구 / 김선풍
4 강릉지역 설화의 특질 / 두창구
5 許蘭雪軒 漢詩 硏究 / 문복희
6 민속극 노장과장과 양반과정 연구 I / 심상교
7 강릉의 산출식품과 향토음식의 전통성에 관한 연구 / 윤덕인
8 <洪吉童傳>의 苦難 克服의 意味 / 이태옥
9 朝鮮後期 江陵地方 祠宇齎室建立의 動向 / 임호민
10 강릉 방언의 음운현상과 그 추이에 대하여 / 전혜숙
11 栗谷의 漢詩에 나타난 儒佛觀 / 정항교
12 강릉관노가면극의 전승집단과 연희적 특징 고찰 / 정형호
13 강릉 경포대의 문화사적 고찰 / 홍순옥,,,책 소개
강릉지역의 전통문화를 연구한 밀도있는 보고서. 분야별로 강릉 단오제, 향토음식, 방언, 경포대의 문화사적 고찰 등 다양한 문화 현상을 살핀 13편의 글을 실어 강릉지역의 과거와 현재의 전통에 대한 현상을 알아본다.
1 강릉 단오제의 현대적 계승 / 김경남
2 강릉지역 다리 이름 고찰 / 김기설
3 강릉 農謠 연구 / 김선풍
4 강릉지역 설화의 특질 / 두창구
5 許蘭雪軒 漢詩 硏究 / 문복희
6 민속극 노장과장과 양반과정 연구 I / 심상교
7 강릉의 산출식품과 향토음식의 전통성에 관한 연구 / 윤덕인
8 <洪吉童傳>의 苦難 克服의 意味 / 이태옥
9 朝鮮後期 江陵地方 祠宇齎室建立의 動向 / 임호민
10 강릉 방언의 음운현상과 그 추이에 대하여 / 전혜숙
11 栗谷의 漢詩에 나타난 儒佛觀 / 정항교
12 강릉관노가면극의 전승집단과 연희적 특징 고찰 / 정형호
13 강릉 경포대의 문화사적 고찰 / 홍순옥,,,책 소개
강릉지역의 전통문화를 연구한 밀도있는 보고서. 분야별로 강릉 단오제, 향토음식, 방언, 경포대의 문화사적 고찰 등 다양한 문화 현상을 살핀 13편의 글을 실어 강릉지역의 과거와 현재의 전통에 대한 현상을 알아본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