쌀 품질 고급화 기술
작성자 정보
- 삼손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1,452 조회
- 0 추천
- 0 비추천
- 목록
본문
차례
제1장 : 품종개발과 보급
1. 품종개발 기술
2. 품종개발 현황과 주요특성
제2장 : 기계 재배기술
1. 기계이앙 재배
2. 이모작 기계이앙 재배
3. 종이멀칭 기계이장 재배
4. 부분경운 기계이앙 재배
제3장 : 직파재배
1. 건답직파 재배
2. 담수직파 재배
제4장 : 간척지 벼 재배
1. 간척지 적응 벼 품종
2. 벼 내염성 검정
3. 염해
4. 제염방법 및 토양개량
5. 간척지 기계이앙 재배
6. 담수표면산파 재배
제5장 : 잡초방제
1. 우리나라 논 잡초발생 현황
2. 기계이앙 재배 잡초방제
3. 담수직파 재배 잡초방제
4. 건답직파 재배 잡초방제
5. 잡초성 벼 방제
6. 제초제 저항성 잡초방제
제6장 : 병해충 방제
1. 병해 생태 및 방제
2. 해충 생태 및 방제
3. 주요 병해충 종합관리
제7장 : 재해경감
1. 온도장해
2. 풍수해
3. 도복 및 수발아
4. 한발해
제8장 : 수확 후 관리
1. 수확
2. 건조
3. 저장
4. 도정
5. 쌀가공 및 가공식품,,,벼는 우리나라에서 5000년 이상 재배되어 온 가장 오래된 식량작물이며 쌀은 국민의 주식으로서 민족의 역사와 함께 우리의 삶을 지켜주었고 앞으로도 이들 역할은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우리는 지난 '70년대 통일형 벼 신품종 육성과 새올운 재배기술의 개발 . 보급으로 쌀 자급을 이룩하여 가난의 대명사처럼 여겨왔던 보릿고개를 이 땅에서 영원히 몰아내고 역사에 남을 녹색혁명의 위업을 달성하였다. 70년대 부터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농경지의 감소와 농촌 청장년의 이농에 따른 농업 노동력의 감소와 고령화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어 쌀 안정생산에 불안요인이 되고 있다. 2005년부터는 WTO 체제에서 밥쌀용 쌀도 수입개방이 불가피하게 되어 지금 우리는 쌀 생산비를 낮추고 품질이 좋은 쌀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요국에 맞추어 우리나랑의 벼 재배환경에 맞는 고품질의 쌀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기술과 생력재배기술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벼농사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었다.
제1장 : 품종개발과 보급
1. 품종개발 기술
2. 품종개발 현황과 주요특성
제2장 : 기계 재배기술
1. 기계이앙 재배
2. 이모작 기계이앙 재배
3. 종이멀칭 기계이장 재배
4. 부분경운 기계이앙 재배
제3장 : 직파재배
1. 건답직파 재배
2. 담수직파 재배
제4장 : 간척지 벼 재배
1. 간척지 적응 벼 품종
2. 벼 내염성 검정
3. 염해
4. 제염방법 및 토양개량
5. 간척지 기계이앙 재배
6. 담수표면산파 재배
제5장 : 잡초방제
1. 우리나라 논 잡초발생 현황
2. 기계이앙 재배 잡초방제
3. 담수직파 재배 잡초방제
4. 건답직파 재배 잡초방제
5. 잡초성 벼 방제
6. 제초제 저항성 잡초방제
제6장 : 병해충 방제
1. 병해 생태 및 방제
2. 해충 생태 및 방제
3. 주요 병해충 종합관리
제7장 : 재해경감
1. 온도장해
2. 풍수해
3. 도복 및 수발아
4. 한발해
제8장 : 수확 후 관리
1. 수확
2. 건조
3. 저장
4. 도정
5. 쌀가공 및 가공식품,,,벼는 우리나라에서 5000년 이상 재배되어 온 가장 오래된 식량작물이며 쌀은 국민의 주식으로서 민족의 역사와 함께 우리의 삶을 지켜주었고 앞으로도 이들 역할은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우리는 지난 '70년대 통일형 벼 신품종 육성과 새올운 재배기술의 개발 . 보급으로 쌀 자급을 이룩하여 가난의 대명사처럼 여겨왔던 보릿고개를 이 땅에서 영원히 몰아내고 역사에 남을 녹색혁명의 위업을 달성하였다. 70년대 부터 도시화와 산업화가 급속히 진전되면서 농경지의 감소와 농촌 청장년의 이농에 따른 농업 노동력의 감소와 고령화로 생산성이 저하되고 있어 쌀 안정생산에 불안요인이 되고 있다. 2005년부터는 WTO 체제에서 밥쌀용 쌀도 수입개방이 불가피하게 되어 지금 우리는 쌀 생산비를 낮추고 품질이 좋은 쌀을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여 국제 경쟁력을 높여 나가야 할 과제를 안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사회적 요국에 맞추어 우리나랑의 벼 재배환경에 맞는 고품질의 쌀을 생산할 수 있는 재배기술과 생력재배기술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여 벼농사의 경쟁력을 높이는데 초점을 두었다.
관련자료
-
이전
-
다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