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노트
각종 미디어에 공개된 마을만들기와 관련한 정보를 모아 놓는 곳입니다.

경기일보 분류

[마을이 돌아왔다] 1. 프롤로그. ‘마을의 새생명’ 사라졌던 희망이 싹트다

작성자 정보

  • 마을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마을이 돌아왔다] 1. 프롤로그
‘마을의 새생명’ 사라졌던 희망이 싹트다
1028252518_s4XWZ9Ex_3a280e49f699f8254aaa28658d09d1bc2dadd5fb.gif2011년 06월 23일 (목)박명학 1028252518_n9bJWNP4_1d81863b37539872885526c331b537b28c3dc855.gif webmaster@ekgib.com1028252518_06Ateu7k_e6d14e0c59e7d340abf89f133dc2d5caac2dc073.gif

 

  
▲ 지난 5월 남양주 광릉 숲둘레 마을에서 열린 논아트 밭아트 프로젝트 열음잔치에서 또랑광대 김명자씨가 판소리 공연을 하고 있다.

  
‘마을 만들기’라는 것이 있다. 일본의 ‘마치즈쿠리’에서 유래한 듯한 이 말은 우리에게 넘어와 한층 멋들어지게 꾸며지면서 실제 그 기원이 어떠했는지 와는 별개로, 이제 우리의 농산어촌과 도시 지역의 각종 개발 사업이나 공동체 문화 회복을 위한 운동성까지를 총칭하는 고유명사의 지위를 갖게 됐다. 
어찌 보면 우리의 마을 만들기란 말 속엔 마을은 만들어질 수 있다는 신념과 의지, 꿈과 희망 등이 절절하게 녹아있는 듯도 하다.

 


  
▲ 남양주 부엉배마을에 설치된 마을게시판. 마을 사람들에게 전할 내용이 적혀있다. 이석우·이석숙 작가 작품.
1990년대 이래 우리나라 역시 우루과이 라운드(UR), 세계무역기구(WTO), 자유무역협정(FTA) 등 전지구적 경제 질서의 지배 구조 속에 갖히게 되면서, 우리의 마을은 생존의 갈림길에 놓이게 됐다. 마을을 살려 낼 당장의 뾰족한 묘책이 없는 위정자는 아이템만 좋다면 언제든지 투입할 수 있는 실탄(?)의 비축이 필요했고, 이렇게 한 푼 두 푼 쌓여진 실탄은 어디론가에 쓰여지기를 상시 대기하는 화력을 제공하면서 우리의 마을 만들기는 시작됐다. 

이제 우리네 마을 어귀에서 ‘○○마을 만들기 사업 시행’ 등의 입간판이나 현수막 등을 보는 것은 낯익은 풍경이 됐다. 아름마을, 정보화마을, 체험마을, 테마마을, 팜 스테이, 산촌유학, 오도이촌(五都二村), 그린 투어리즘 등등 열거하기도 버거운 마을 만들기 사업들이 산간 오지, 도서에 이르기까지 퍼져나갔다. 한 마을에 적게는 몇 억 원에서 많게는 70억~80여억 원의 자금이 투입돼 소위 ‘마을 숙원 사업’들을 하나하나 이루어내고 있다.
  
▲ 부엉배마을 산책로에 설치된 아트벤치. 정재연 작가가 완두콩을 모티브로 제작했다.

사실 우리나라 정부 부처의 마을 만들기 관련 사업들은 행정안전부, 농림수산식품부, 국토해양부 등 농산어촌 및 지역 정책 유관 부처뿐 아니라 교육과학기술부, 문화체육관광부, 환경부 등 범정부 차원에서 경쟁적으로 이뤄지고 있다. 여기에 지자체 및 공공기관, 단체 등에서 개별적으로 추진하는 사업들을 보태면 그 종류와 규모를 정확하게 짚어내기란 쉽지 않다. 이와 같이 우리의 ‘마을 만들기’는 과거 새마을 운동이 그러했듯이 주로 ‘○○마을 만들기’ 식의 관주도 정책 사업들로 투영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최근 들어 주민 주도의 자생적 마을 만들기 움직임들도 심심치 않게 보여 지고 있으나, 이들 또한 어떠한 방식으로든 제도적, 정책적 수단과의 결합과 타협 없이는 온전한 모습을 그려내기란 어렵다 할 것이다. 그러다보니 마을 만들기의 지향점 및 과정과 절차, 그 성과의 지속가능성 등을 설계함에 있어 제도적, 정책적 수단이 갖는 태생적 한계를 고스란히 넘겨받는 것은 물론 그에 더 나아가 마치 ‘강남의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귤화위지·橘化爲枳)’는 말과 같이 오히려 그 관성의 영향이 더욱 심화되는 현상마저 나타나고 있다. 그로 인해 간혹 어떤 이는 나름의 근거를 가지고 ‘성과 있음’을 주장하기도 하지만, 많은 이들은 그 실질적 ‘성과 없음’을 지적하며 부작용의 폐해까지를 걱정하기도 한다. 그간의 ‘마을 만들기’ 성과에 대한 관점은 이해관계 등에 따라 다를 수 있겠으나, 지금까지 전국에 걸쳐 그 많은 사업들이 일어났음에도 오늘날 우리네 마을의 삶의 모습을 보면 성공한 사례를 찾기 어렵다는데 손을 들어줄 수밖에 없다.

 


로빈슨 크루소의 섬엔 마을이 없다고 하듯이 마을을 ‘사람이 모여 사는 곳’이라 한다면, 마을을 만든다는 것은 마을에 모여 사는 사람들의 삶의 방식과 가치, 서로의 기억을 아우른다는 것과 같다. 그러기 위해선 마을의 어제, 오늘의 기억이 어떠했고 또 내일의 삶의 가치 등은 어떠해야 하는 지를 구체적이고 해석 가능한 언어로 꼼꼼히 담아내고 그려낼 수 있는 방도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 그렇지 못할 경우, 마을 만들기 사업은 있되 마을은 보이지 않는 그저 그런 사업들의 나열이 되거나, 차라리 아니한 만 못한 뜻하지 않은 결과에 직면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들은 다양할 수 있다. 한 방법으로 ‘마을 조사’의 새로운 가능성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급속한 시장개방 바람에 존폐위기

상처받은 대한민국의 ‘말초 공동체’

정부·지자체 앞다퉈 ‘마을 만들기’

주민들의 꿈이 영그는 현장을 찾아


마을 조사의 목적은 여러 가지 일 수 있다. 학문적 이유일 수도 있고, 사적 관심일 수도 있을 것이며, 그 외에 정치, 경제, 사회문화적으로 다양한 이유에 기인할 수 있겠으나, 마을 조사란 궁극적으로 마을의 사람과 자연, 일과 놀이 등 마을 공동체가 품고 있는 일상의 생활문화 자원을 발굴해 점, 선, 면으로 잇고 시간과 공간의 씨줄과 날줄로 엮어서 마을 공동체의 생태문화지도를 그려내는 작업이라 할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의 성과들이 마을 만들기와 같은 정책적 시행과 밀접하게 연계될 수 있을 때, 그 파급 효과는 한층 커질 것이다.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아직까지는 그러한 마을 만들기와 마을 조사를 접할 기회를 가져 보지 못했다.

어떤 면에서 마을 만들기와 마을 조사는 같은 말이라 할 수 있다. 마을 만들기에서 마을 조사로 다가갈 수도 있고, 그 반대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렇기에 마을 만들기든, 마을 조사든 그 과정과 성과가 서로 소통될 수 있을 때, 마을에 사는 사람들이 마을의 안과 밖에서 그들의 마을과 그들의 삶을 온전하게 바라 볼 수 있게 된다.

 

  
▲ 부엉배마을의 인지도 및 정체성 확립을 위해 마을 입구에 설치된 상징조형물. 박건원 작가 작품.사진제공=구름서재

지난 한 세기, 우리는 마을의 많은 것을 잊었다. 어쩌면 지금 우리가 성장과 발전이라고 부르는 것들은 마을의 기억을 지워나간 그간의 흔적들이라 할 수도 있다. 그러기에 이제 마을로 돌아가기 위해선 그 곳으로 들어가는 기억의 지도를 짜 맞추는 지루한 퍼즐을 풀어내야 한다. 그렇다고 마을은 언제나 작고 가난해야 된다는 것이 아니다. 그럴 필요도 없다. 향약, 두레, 품앗이를 읊조리며 격앙가를 부르는 그런 마을을 얘기하는 것도 아니다. 다만, 어디서건 마을에 사람이 살고, 마을과 사람은 서로를 닮기에 마을과 사람은 서로의 모습을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 

어쩌면 마을을 만든다는 것은 애당초 불가능한 것인지도 모른다. 그것은 반짝이는 아이디어나 단기간의 인위적인 물량 투입으로 이뤄질 수 있는 것도 아니며, 특정한 삶의 방식과 가치로의 일사분란한 통합을 강요할 수 있는 일도 아니다. 굳이 여기까지 가진 않더라도 마을 만들기를 얘기함에 있어 적어도 그 곳의 사람들과 그들의 삶의 가치가 무엇이어야 하는지에 대한 진지한 성찰의 문은 열려있을 필요가 있다.         

박명학 예술과마을 네트워크 상임이사

 



후원  경기문화재단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