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노트
각종 미디어에 공개된 마을만들기와 관련한 정보를 모아 놓는 곳입니다.

강원도민일보 분류

마을만들기, 주민의 평생학습이 우선돼야

작성자 정보

  • 지원센터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마을만들기, 주민의 평생학습이 우선돼야
1028252518_FzyRE1YL_f5d8a673bf4e2a122c3bbda9631fd8816901ee5a.gif2010년 12월 10일 (금)정미경1028252518_q8YWavOI_ae692ea62060eee1bb7b7d36fd48b1ad8dd5aee9.gif
  
▲ 정미경

강원대 사회복지학과 교수
우리나라에서의 마을만들기 운동은 1958년 지역사회개발을 국가정책으로 채택하면서 시작했다고 볼 수 있다. 이는 UN과 ICA(International Cooperative Administration)에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개발도상국의 농촌개발을 위해 채택했던 모델이다. 1960대 들어와서는 시범농촌건설사업으로 발전했으며, 1970년대에는 새마을운동으로 농촌정책을 대표하지만 주민의 실질적인 역량강화로까지는 이어지지 못한 채 ‘동원된 참여’의 한계점을 갖는다. 1980년대와 1990년대를 거치면서 지역개발사업은 하드웨어 성과에 역점을 두었고, 주민조직이나 지도자 육성 등 사람을 키우는 일은 소홀한 것으로 평가된다. 1995년 지방자치제도 시행 이후 지방자치의 핵심이 주민참여의 행정인 만큼 ‘마을만들기’와 ‘지방자치’는 깊은 관련성을 갖게 된다. 특히 1990년대 말 이후부터 도시연대의 ‘걷고 싶은 도시만들기’, 녹색도시연구모임의 ‘녹색교통운동’, YMCA의 ‘녹색가게’, 참여연대의 ‘아파트공동체 운동’ 등은 주민 스스로 나서서 일상생활 환경의 문제들을 풀거나 개선하려는 활동들이 눈에 띄게 늘어났다. 이처럼 우리나라는 지역의 창의성과 자율성에 바탕을 둔 상향식·내생성이 지역사회 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 강조되면서 지역주민의 주체적 역량 강화가 국가정책의 화두로 떠오르게 되었다. 

현재까지도 마을의 자활 및 자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 녹색농촌체험마을지원사업, 새농어촌마을조성사업, 참살기좋은마을조성사업, 친환경농업자율실천마을조성 등 다양한 정책과 사업이 진행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많은 예산이 수반되고 있다. 이처럼 마을만들기에 대해 민·관 모두의 관심은 점점 높아지고 있으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의 마을만들기는 정착·활성화 되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마을이란 주민 전체가 공유하는 곳이고 마을에서 산다는 것은 공동시설이나 서비스에 의존하는 삶터로서 개인이 자립하여 사는 것 같으면서도 실제로는 서로 이런저런 관계를 맺고 생활하는 곳이므로 공동체로서의 마을이 잘 만들어지고 운영될 때, 비로소 주민들은 자유롭고 자립하여 살아가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강원도 소재 마을은 타 시·도의 마을에 비해 독특하고 다양한 특성들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마을 본래의 것을 발견하고 이를 미래와 관련지어 강점을 살린 마을만들기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마을의 역사와 특징들을 이해하기 위한 주민의 학습이 우선되어야 한다. 마을만들기의 중심주체는 주민이고, 마을 개발과정 전반에 걸친 참여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마을의 발전과 주민의 학습은 동전의 양면과 같아서 마을의 참된 발전을 위해 고민하는 학습이 필수적이다. 마을을 만들기 위한 학습은 주민 스스로를 개발하도록 하며, 명확한 사고를 하도록 하고, 조직적으로 행동 가능한 대안들을 검토함으로써 주민들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합당한 대안을 선택하고 주민들의 결정을 실현하는 능력을 길러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의미에서 볼 때, 주민의 의식변화가 수반되어야 진정한 의미에서의 마을의 발전이 가능하므로 마을만들기는 사람만들기가 전제될 수밖에 없다. 

지금 세계 각국에서는 지역사회 주민 간 연대의식을 고양하고 네트워크를 형성하기 위한 주요 기제로서 평생학습에 주목하고 있다. 특히 일본은 1980년대 이후 생애학습을 키워드로 마치즈쿠리 운동, 지역교육운동, 지역창조운동 등 지역활성화 운동을 연계 진행해 오고 있다. 따라서 강원도에서도 세계 각국의 마을만들기 진행상황을 검토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토대로 각 마을이 주민의 공동공간, 공동시설, 공동시스템, 공동서비스, 공동이벤트, 공동문화 등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마을만들기 학습거리를 개발해야 한다. 주민이 마을단위로 학습을 하다보면 자신이 살고 있는 마을을 잘 만들기 위해서는 다양한 각도의 접근이 필요하다는 인식과 마을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찾게 될 것이며, 궁극적으로는 마을의 문제해결과 주민의 복지를 향상하기 위해서는 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의 중요성을 깨닫는 계기가 될 것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원도에서 추진하고 있는 현재의 마을만들기는 미래로 연결되면서도 오늘날에 살아 있어야 하고, 오늘날의 행동에서 미래를 만드는 철학을 가진 실천력이 필요하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