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정보
각종 미디어에 공개된 마을만들기와 관련한 정보를 모아 놓는 곳입니다.

농업 분류

21세기 농업의 미래 1부 - 친환경 유기농 시장을 선점하라

작성자 정보

  • 쪼각 작성
  • 작성일

컨텐츠 정보

본문

2부작  <  21세기 농업의 미래 >

 

■ 방송일시  

 

제1편  친환경.유기농시장을 선점하라 (2005년 1월 29일. 토. 저녁 8시- 9시)

제2편  세계는 왜 친환경농업을 선택했나 (2005년 1월 30일. 일. 저녁 8시- 9시)

 

■ 프로듀서  : 서재석, 신동환

   연     출   : 신성욱, 곽윤일

 

■ 기획의도

    

지난 90년대 이후 WTO체제의 등장과 함께 세계 농업의 판도는 농산물 수출국과 수입국의 대결양상으로 재편됐고 10여년 사이 우리 농업은 지속적인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특히 쌀재협상의 결과 올해부터 수입쌀의 시판이 허용됨으로써 우리 농업은 다시 한번 기로에 서게 됐고, 이대로 가다간 이 땅에서 농업, 즉 식량생산의 기지가 사라질지도 모른다는 위기의 목소리가 높다.

21세기 우리 농업의 미래, 그 대안은 어디에서 찾아져야 하나. 2부작 '21세기 농업의 미래'는 친환경 농업을 통해 우리 농업의 미래, 더 나아가 식량생산의 기지인 농업, 농촌을 지킬 수 있다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미 소비자들은 국내산, 외국산 따지지 않고 안전한 고품질 농산물을 선택하고 있다. 또 중국과 일본을 합친 약 350억 달러의 농산물 시장이 우리 바로 옆에 있다.

친환경안전농산물 수출이 확대된다면 우리 농업은 더 이상 낙후된 산업이 아니라 21세기 첨단산업이 될 수도 있다.

 

 

■ 주요내용

 

 

제1편 친환경.유기농 시장을 선점하라

 

1. 매주 수요일 평택항에선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 중국 유기농의 밀려오고 있다   

: 일주일에 두 번 평택항에는 중국에서 유기농 콩을 실은 선박이 들어온다.

국내에서 생산되는 유기농 두부, 두유 등의 가공원료로 수입되는 것이다. 신선채소, 과일,

곡류 등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만으로도 어느 정도 수요를 맞출 수 있지만 가공용 원료,

즉 콩, 토마토 케찹, 즙 류 등은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이 너무 적어 수입을 할 수 밖에

없는 실정이다. 중국산 유기농의 수입실태를 취재했다

 

2. 한국 시장을 공략하라 - 중국 산동성의 녹색식품이 한국시장을 노리고 있다

: 중국산 농산물 하면 흔히 저가, 저품질을 떠올린다. 그러나 중국 산동성 일대, 황해 연안

에는 최근 몇 년 사이 대규모 친환경 농산물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이는 한국시장, 일본

시장을 노리고 중국 정부가 주도하는 체계적인 전략에 의한 것이다. 실제 중국 녹색식품

의 경쟁력은 어느 정도인가.

 

3. 위기, 친환경. 유기농 가공시장 어떻게 지킬 것인가

: 곡류, 신선채소, 특용작물 등 국내에서 생산되는 친환경 1차 농산물은 공급에 큰문제가

없다. 그러나 어린이 이유식 등 수백가지에 이르는 유기농 가공품 시장은 거의 외국산으

로 채워지고 있다. 이대로 가다간 유기농 가공시장을 완전히 뺐길 수도 있다

 

4. 유기농가를 높여라 - 친환경 농업 7년의 과제

: 정부는 98년 친환경농업육성법을 제정하고 4단계의 인증체계를 만들었다. 지난 7년이

지나는 사이 친환경농업을 시작한 농민은 크게 늘어 약 10배 가까운 증가세를 보였다.

그러나 새로운 과제도 남겼다. 전체 친환경 농가의 90% 정도가 아직 저농약, 무농약

수준에 머물러 있고 소비자들이 원하는 유기농가 비율은 10%가 채 안되는 실정이다.

고품질 안전농산물의 생산을 확대할 방안은 무엇인가

 

5. 친환경 농산물, 유통의 고속도로를 만들어라

: 친환경농산물 생산을 확대하기 위해선 기존의 농산물 유통망 대신 별도의 유통체계를

만드는 게 시급하다. 농민들이 어렵게 생산한 친환경농산물이 기존의 유통체계를 통해

유통됨으로써 제 값을 받지 못하고 이는 결국 생산 저하로 이어지기도 하는 것이다.

그 대안으로 농협 등을 중심으로 친환경 농산물 전문 시장의 건립 등이 추진되고 있고

중장기 적으로는 국가가 참여하는 거점형 친환경 물류기지의 건설도 검토되고 있다

유통의 고속도로, 이는 안전한 고품질 농산물을 원하는 소비자에게 다가가는 첩경이자

친환경농가를 보호하는 지름길이 될 것이다.    

관련자료

댓글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최근글


  • 글이 없습니다.

새댓글


  • 댓글이 없습니다.
알림 0